사회복지/청소년프로그램

제 6 장 청소년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설정

박정미 대화법강사 2020. 9. 2. 13:45

청소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- 제 6 장

 

제 6 장 청소년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설정

 

1.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의 이해

1) 교육목적, 프로그램목적, 활동목표의 개념

① 교육목적 : 청소년 기관이 지향하는 궁극적 이념을 구체화한 것

② 프로그램목적 : 프로그램이 직접적으로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명시 ③활동목표 : 의도된 학습결과에 도달했는가에 대한 것

2) 교육목적, 프로그램목적, 활동목표의 기능

① 교육목적 : 청소년기관의 성립근거와 정체성을 명확히 해 줌

② 프로그램목적 : 참여자에게 선행적인 기대감을 갖게 하고 프로그램 홍보에도 기여

③ 활동목표 : 학습경험의 범위 지정, 교육의 내용 방법 방향규정, 수련활동의 활성화, 평가의 방향 내용 결과 해석의 규준 결정

 

2. 프로그램 목적 설정과 진술

1) 프로그램 목적의 설정

① 국가, 지방자치제, 청소년기관이 지향하는 사회적 이념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

② 정부, 민간단체, 기타 기관들에 의해 프로그램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음

③ 청소년 기관의 제반 속성과 사회적 변화 및 동향에 의해 프로그램의 목적이 설정될 수 있음

④ 청소년기관의 설립 취지와 이념은 목적 설정에 중요한 근거가 됨

⑤ 청소년의 성장, 발달, 요구, 필요, 문제해결 등은 목적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됨

2) 프로그램의 진술방법

① 상황 : 청소년이 처한 상황/ 상태를 명시

② 대상 : 프로그램 참여 명시

③ 내용 : 제공될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제시

④ 의도 :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이 프로그램 종료 후 변화될 궁극적 기대효과 명시

 

3. 활동목표의 영역과 유형

1) 활동목표의 영역

① 인지적 행동특성 : 지식, 이해력, 적용력, 분석, 종합, 평가

② 정의적 행동특성 : 수용, 반응, 가치화, 조직화, 인격화

③ 신체운동적 행동특성 : 반사운동, 초보적 기초운동, 지각능력, 신체적 능력, 숙련된 운동기능, 동작적 의사소통

2) 활동목표의 유형

① 일반적 목표와 명세적 목표 : 명세적 목표는 포괄성의 수준이 낮고, 구체적인 목표 이다.

② 주목표와 하위목표 : 학습목표가 만들어지는 순서나 포괄성 구체성의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.

③ 궁극적 목표와 직접적 목표 : 학습성과의 시간적인 차원에 따라 구분한다.

④ 중도점 목표와 도달점 목표

㉠ 출발점 행동목표 : 학습 번 프로그램 내용과 직간접으로 관계되는 내용

㉡ 도달점 행동목표 : 학습활동의 결과로 기대되는 학습자의 행동, 성과목표

㉢ 중도점 행동목표 : 학습과정 중에 획득해야 하는 행동, 과정목표

⑤ 행동적 목표와 비행동적 목표 : 진술시에 사용한 성질이나 동사에 따라 나누어진다. ⑥ 인지적 목표, 정의적 목표, 심동적 목표

 

4. 활동목표 진술의 방법

1) 활동목표 진술의 원칙

① 합리성(rational) : 논리적 패턴을 요구

② 실천가능성(practical) : 현실성이 반영되어야 함

③ 다원성(pluralistic) : 여러 결과를 반영

④ 위계성(hierarchical) : 서로 상위, 하위 영역이 됨

⑤ 차별성(discriminative) : 다른 행동을 배제시킴

⑥ 변화가능성(changeable over time)

2) 활동목표의 진술을 위한 행위동사

인지적, 정의적, 신체 운동적 영역별로 알맞은 행위동사를 사용

3) 목표의 진술 절차

① 도착점 목표 진술 후 각 도착점 목표 아래에 수행목표를 순서에 따라 진술

② 목표 진술시 고려사항

㉠ 관찰 가능한 행동동사 사용

㉡ 청소년 입장에서 진술

㉢ 다른 목표와 조화

㉣ 기대되는 행동 진술